통계청이 2001년 5월 발간한 ‘도시가계연보’에 따르면 종교 관계 지출은 월 평균 가계 지출의 1. 5%로 이를 전체 가구 수로 환산하면 연간 4조 3692억원에 이른다. 세계 50대 개신교 교회 가운데 한국 교회가 23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한 불교 조계종은 99년 문화재 관람료 명목으로 267억원, 불국사는 한해 42억3000만원의 수입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신대 강인철 교수(종교 문화학·사진)는 최근 발간된 계간 학술지 ‘비평’ 봄호에 실린 논문 ‘종교와 자본주의’를 통해 종교의 자본주의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동조’와 종교의 자본주의적 ‘변형’이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논문에서 “자본주의하에서는 국가 강제력에 의해 징수된 중세의 종교세 등이 없어져 종교와 경제가 분리된 것 같지만 이는 관계방식의 변화”라며 “자본주의적 변형을 거친 종교의 상품화와 산업화가 심각하다”고 꼬집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종교의 상품화는 이른바 ‘종교적 구원재’가 자본주의의 다른 상품처럼 돈으로 교환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는 데 있다. 여기에서 종교적 구원재는 질병의 치유와 육체적 건강, 출산과 정신적 안정, 취업과 승진, 진학과 사업의 번창 등 기복적인 것에서부터 내세의 행복과 초능력 획득 등 우주적이면서 내세적인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강 교수는 종교를 ‘영혼 주식회사’에 비유하면서 △종교 산업의 지나치게 높은 수익성 △재정 사유화 경향과 불투명성 △성직자의 ‘CEO화’ 등을 그 폐해로 지적했다.
그는 또 “현재 종교 조직이나 성직자에게 주어지는 면세 혜택의 근거는 비영리성, 공익성, 성직자의 청빈성이지만 이런 요건들이 붕괴되고 있다”며 “최근 거세게 일어나는 종교 내부의 개혁운동은 바로 이런 혼란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갑식 기자 gskim@donga.com
------------------------------------------
유종근 소환…이르면 19일 영장
4억원 받은 혐의 집중 추궁
대검 공적자금비리 특별수사본부(본부장 김종빈ㆍ金鍾彬 중수부장)는 세풍그룹으로부터 4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유종근(柳鍾根) 전북지사를 18일 오후 2시에 소환, 금품수수 여부를 집중 추궁했다.
검찰은 이르면 19일께 유 지사에 대해 특정범죄 가중처벌법 위반(뇌물수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검찰에 따르면 유 지사는 세풍측의 국제자동차경주대회 유치 시도와 관련한 각종 인ㆍ허가 과정에 편의를 제공하고, 1997년 12월 도지사 관사에서 고대용(高大容ㆍ35ㆍ구속) 전 세풍월드 부사장으로부터 현금과 예금통장으로 각 1억5,000만원씩을 받은 혐의다.
유 지사는 이듬해 6월에는 처남 김동민(34ㆍ구속)씨를 통해 고씨로부터 추가로 1억원을 전달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한편 유 지사는 이날 검찰 출두에 앞서 “절대 금품을 받은 사실이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한 뒤 “나라를 위해 할 말을 참고 있지만, 정치적 음모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